맨위로가기

래스터 그래픽스 편집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래스터 그래픽스 편집기는 픽셀 기반의 이미지를 수정하고 생성하는 데 사용되는 소프트웨어이다. 벡터 그래픽스 편집기와 비교하여, 래스터 편집기는 주로 디지털 사진과 같은 사실적인 이미지 표현에 적합하며, 픽셀 단위로 이미지를 처리하여 밝기, 대비 조절 및 특수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주요 기능으로는 선택, 브러시, 채우기, 색상 모델 변환, 텍스트 추가, 사진 보정, 레이어 편집, 필터 적용, 파일 형식 변환 등이 있다. 1975년 BitRectEditor를 시작으로 MacPaint 등을 거쳐 발전해왔으며, 어도비 포토샵, GIMP, 코렐 페인터 등 다양한 상용 및 무료 소프트웨어가 존재한다.

2. 벡터 그래픽스 편집기와의 비교

벡터 그래픽스 편집기는 래스터 그래픽스 편집기와 종종 비교되지만, 그 기능은 서로 보완적이다. 벡터와 래스터 편집기의 기술적 차이는 벡터 그래픽스래스터 그래픽스 이미지의 차이에서 비롯된다.

GIMP나 어도비 포토샵과 같은 고급 래스터 편집기는 일반 레이아웃 및 텍스트와 같은 요소에 벡터 방식(수학)을 사용하지만, 픽셀 수준까지 래스터 이미지를 처리할 수 있으며 밝기/대비와 같이 그렇게 할 수 있는 특별한 기능이 있고, 래스터 이미지 또는 사진에 "조명"을 추가할 수도 있다.

2. 1. 래스터 그래픽스

래스터 이미지는 픽셀이라는 점의 행과 열로 구성되며, 사실적인 표현에 적합하다.[2][1] 디지털 카메라의 표준 형식이며, raw 파일이나 .jpg 파일 모두 동일한 개념으로, 이미지는 미세한 직소 퍼즐처럼 픽셀 단위로 표현된다.

2. 2. 벡터 그래픽스

벡터 그래픽스기하학 공식을 사용하여 수학적으로 생성된다.[2][1] 각 구성요소는 숫자로 생성되고 조작된다. 본질적으로 핵심 포인트의 배치에 직교 좌표계를 사용하고 점을 연결하여 색상을 정의하는 수학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벡터 편집기는 그래픽 디자인, 페이지 레이아웃, 타이포그래피, 로고, 날카로운 가장자리의 예술적 일러스트레이션(만화, 클립 아트, 복잡한 기하학적 패턴, 기술 일러스트레이션, 다이어그램 제작 및 플로우차트 제작 등)에 더 적합하다.

3. 주요 기능

래스터 그래픽스 편집기는 그림이나 사진 등의 래스터 이미지를 생성하고 편집하는 데 사용되는 소프트웨어이다. 어도비 포토샵이나 코렐 페인트샵 프로와 같이 사진 수정 및 가공을 목적으로 하는 이미지 편집 소프트웨어도 페인트 도구의 일종이지만, 최근에는 페인터와 같이 일러스트 작화용 애플리케이션을 지칭하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PC나 태블릿 단말과 같은 로컬 컴퓨터에 설치하는 소프트웨어를 가리키지만, 그림 게시판이나 그림 채팅 등 커뮤니케이션 도구로 웹 브라우저에서 동작하는 간이 페인트 앱도 등장하고 있다. 또한, 터치 대응 모니터를 캔버스로 사용하여 손가락으로 직접 그릴 수 있는 소프트웨어도 등장하고 있다.

3. 1. 기본 기능


  • 편집할 영역을 선택 기능으로 선택한다.[6]
  • 다양한 색상, 크기, 모양, 압력을 시뮬레이션하는 브러시로 선을 그린다.[6]
  • 단색, 색상 그라데이션, 질감으로 영역을 채운다.[6]
  • RGB, HSV 등 다양한 색상 모델을 사용하거나 색상 스포이드를 사용하여 색상을 선택한다.[6]
  • 다양한 색상 모델 간에 편집 및 변환을 수행한다.[6]

3. 2. 고급 기능

다양한 글꼴 스타일로 텍스트를 추가한다.[6]

사진 이미지의 결점을 제거한다.[6]

레이어를 사용하여 합성 편집을 수행한다.[6]

선명하게 하기 및 흐리게 하기와 같은 효과를 위한 필터를 적용한다.[6]

다양한 이미지 파일 형식 간에 변환한다.[6]

다른 색상 모델 (RGB, HSV 등) 또는 스포이트를 사용한 색상 선택을 한다.[6]

다른 색상 모델 간 편집/변환 (RGB ⇔ CMYK 등)을 한다.[6]

4. 역사

1970년대에 제록스 팰로앨토 연구소(Xerox PARC)에서 개발된 SuperPaint가 초기 래스터 그래픽스 편집기의 시초로 여겨진다.[6] 1975년에는 테드 쾰러 등이 임시 다이나북 환경에 통합하는 형태로 제공되었던, 페인트 소프트의 시조격인 BitRectEditor가 등장했다.[7] 이 페인트 소프트에는 툴 팔레트[8]나 BitBlt 기능을 활용한 스탬프 기능, 점 확대 편집 기능 등이 이미 구현되었다.

1984년경에 등장한 MacPaint에서는 올가미 도구를 사용한 선택 및 페인트 통 도구를 사용한 채우기 기능이 구현되었다.[9]

일본에서는 Macintosh 보급 이전부터 PC-9801에 도트 그림 편집 소프트가 있었다. 특히 동 기종의 아날로그 16색 표시에 대응하는 게임 소프트웨어 개발용으로 고기능 소프트도 시판되었다.

5. 주요 소프트웨어

래스터 그래픽스 편집기는 크게 상용 소프트웨어와 무료/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로 나뉜다.

구분소프트웨어
상용 소프트웨어어도비 포토샵, 코렐 페인터, 클립 스튜디오 페인트, 어피니티 포토, 프로크리에이트
무료/오픈 소스 소프트웨어GIMP, 크리타, FireAlpaca, MediBang Paint, Pixia



각 소프트웨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을 참고할 수 있다.

5. 1. 상용 소프트웨어

5. 2. 무료/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GIMP는 포토샵과 유사한 기능을 제공하는 강력한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로, 무료이며 다양한 플러그인을 지원한다. 중도 진보 성향의 사용자들에게 선호도가 높다.[6]

Krita는 디지털 페인팅에 특화된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로, 다양한 브러시 엔진과 기능을 제공한다.[6]

FireAlpaca는 가볍고 빠른 성능을 제공하는 무료 소프트웨어로, 초보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다.[6]

MediBang Paint는 클라우드 기반의 무료 소프트웨어로, 다양한 플랫폼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웹툰 제작 기능을 지원한다.[6]

Pixia는 일본에서 개발된 무료 소프트웨어로, 독특한 인터페이스와 기능을 제공한다.[6]

참조

[1] 웹사이트 GIMP 2.10 User Manual https://docs.gimp.or[...] 2024-02-01
[2] 웹사이트 Raster image https://developer.mo[...] 2024-02-01
[3] 웹사이트 Clipp Out Line https://clippoutline[...]
[4] 문서 ペイントソフトにおける操作ログに基づいた機能の推薦 https://db-event.jpn[...]
[5] 학술지 コンピュータを用いたデザイン入門 (3) ペイント系ソフトによるスタイル画の作成と写真合成 https://doi.org/10.1[...]
[6] Photopea Photopea | Online Photo Editor https://www.photopea[...]
[7] 웹사이트 Ted Kaehler - A Technical Tour of Ted's Projects http://tedkaehler.we[...] 2017-08-28
[8] 문서 그룹내의 배타적 선택을 가능토록하는 광의의 "[[라디오버튼]]"은 이 소프트에 처음으로 명명, 구현되었다
[9] 문서 [[QuickDraw]]의 리전(부정형 클리핑 및 묘화) 기능을 활용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